일단 호손 실험은 행위 이론으로 볼 수 있는데
간단히 행위이론에 대해서 말하자면,
고전적 이론들의 비판으로 부터 출발 한다.
즉, 인간의 기계화는 근로자들의 불만을 가중 시켰고,
결국은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 졌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반향으로 생산성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 된 이론 중에 하나 이다.
i. 호손 실험
하버드 대학의 메이요(Mayo) 교수와
뢰스리스버거(Roethlisberg)등이
서부전력회사(WesternElectricCompany)의
호손공장을 중심으로 1927년부터 5년간의 실험을 통해
인간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ii. 호손 실험의 종류
a. 조명실험
조명의 밝기가 생산성에 얼마 만큼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실험 결과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
b. 배선관찰실험
면접, 관찰을 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요인을 분석 한 실험
공식조적의 경영방침 보다 비공식 조직의 규범이
근로자들에게 더 영향을 미친다.
c. 계전기 조립실험
월급을 올려 주거나 휴식을 많이 하는게
생산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본 실험
주위의 환경 보다는 심리적인 요건이
생산성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
d. 면접 실험
상사의 감독 방법, 작업 환경 에 대한
근로자들의 불만을 실험
작업장의 조건과 근로자들의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
iii. 호손 실험의 결과
기계적인 인간관을 탈피하고 감정적 동물로서의 인간을
인정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작업장의 사회적여건
(만족감, 안정감 등) 이 물질적인 보상 보다
작업에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iiii. 호손 실험의 비판
노동 조합과 같은 공식적인 인간관계를 소홀히 했고,
인간을 심리, 감정에만 치중했다는 점.
출처
서울사이버대학교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대차대조표의 배열 원칙 (0) | 2015.04.09 |
---|---|
[회계] 손익계산서의 구조와 양식 (0) | 2015.04.09 |
[경영] 포디즘 관련 (0) | 2015.04.07 |
[경영] 테일러 시스템 (0) | 2015.04.07 |
[회계] 대차대조표의 구조와 양식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