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무제표의 의미 -----
재무제표 (financial statments : F/S)
는 회계의 최종 산출물로서 기업의 외부 이해 관계자인
주주, 채권자, 거래처, 정부등에게 기업의 영업활동에
대한 회계정보를 일정한 양식에 의해 전달하기 위한
여러가지 회계보고서로 되어 있지만..
그냥 쉽게 말해서 기업의 상태가 현재 어떤지를
모두 나타낸 표라고 생각 하면 된다.
----- 재무제표의 종류 -----
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자본 변동표
현금 흐름표
이익 잉여금 처분 계산서
주석
이렇게 재무재표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많이 살펴 보게 되는
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현금 흐름표 등을 알아 보자.
----- 대차 대조표 (Balance Sheet) -----
- 일정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 -
대차 대조표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정보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대차 대조표의 구성 요소로는 다음과 같다.
i. 자산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그냥 쉽게 말해서 기업이 갖고 있는 돈)
유동 자산
1년 이내에 현금화 되는 자산
당좌 자산
현금, 매출 채권, 단기 대여금
재소 자산
상품, 제품
비유동 자산
1년 이상이 되야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대부분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
투자 자산
투자 부동산, 장기 투자증권
유형 자산
토기, 건물, 기계
무형 자산
특허권, 영업권
기타 비유동 자산
임차 보증금
ii. 부채 (Liabilities)
기업이 미래에 재화나 용역의 형태로
타인에게 제공해야 할 현재의 채무
로 왜 이런 쪽에서는 굳이 말을 이렇게
꼬아서 어렵게 써 놓는지 모르겠다.
쉽게 말해서 그냥 기업이 가지고 있는 빚 이다.
부채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유동 부채
1년 이내에 상환(갚아야) 할 빚
비유동 부채
1년 이후에 상환(갚아야) 해도 되는 빚
iii. 자본 (Capital)
자산에 대한 소유주, 즉 주주의 지분을 의미.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 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액
이것도 그냥 쉽게 말해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돈이다.
자산에서 갚아야 될 빚을 뺀 금액.
자본에는 자본등식이 있는데 등식은 다음과 같다.
자본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기자본이라고 하고
부채는 타인자본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둘의 합계를 총 자본 이라고 한다.
자본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자본금
기업의 출자액으로,
주식회사의 경우 주주들에게 발행한 주식의
액면가에 발행 주식수를 곱한 금액
자본 잉여금
자본거래, 소유주와 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
이익 잉여금
손익 거래, 즉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말한다.
자본 조정
특성상 자본에 부가하거나 차감하여야 하는 계정
또는 자본의 구성항목 중 어느 계정에 계상하여야 하는지
불분명하여 회계상 자본총액에서 가감하는 형식으로
기재하는 항목을 말한다.
기타 포괄 손익 누계액
소유주와의 자본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
----- 손익 계산서 (Income Statement) -----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회계 보고서
손익 계산서에는 기본 적으로 수익, 비용, 이익
이렇게 3가지 개념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 보자.
i. 수익
손익 계산서에 기재되는 수익에는
영업수익(매출액)과 영업외 수익으로 나뉜다.
a. 영업수익
상품(제품이나 용역 포함)을 판매한 금액
즉 매출액을 말한다.
b.영업외 수익
주된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투자활동이나 재무 활동에서 발생한 수익.
ex
이자수익, 임대료, 유형자산 처분이익
ii. 비용
수익을 얻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지출한 자산의 감소액
손익계산서에 기재되는 비용은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외 비용, 법인세비용
등으로 구분 됨.
a. 매출원가
매출된 상품이나 제품의 원가
b.판매비와 관리비
판매 활동과 관리활동에서 발생한 비용
ex
급여, 임차료, 광고 선전비
c. 영업외 비용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투자활동이나 재무 활동에서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
ex
이자비용, 유형자산 처분 손실
d. 법인세 비용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에 법인세율을
곱하여 산정된 금액.
iii. 이익
일정기간 발생한 총 수익에서 총비용을 차감한 금액
기업 회계 기준에서 손익계산서 상 이익을
매출 총이익, 영업이익,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당기순이익,
주당 순이익 등 5가지로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a. 매출 총이익
매출액에서 매출 원가를 차감한 금액
b. 영업 이익
매출 총이익에서 당기에 발생한
판매비와 관리비를 차감한 이익.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모든 비용을 차감한 이익을 말한다.
c. 법인세 비용 차감 순이익
영업이익에 영업외 수익을 가산하고,
영업외 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한 이익.
d. 당기 순이익
법인세 비용 차감전 순이익에서
법인세 비용을 차감한 이익.
e. 주당 순이익(Earnings per share : EPS)
영업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1주당 이익이 얼마 인가를 나타낸다.
출처
서울사이버대학교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캔들봉의 종류와 의미 (0) | 2015.04.07 |
---|---|
[주식] 캔들봉 기본지식 (2) | 2015.04.07 |
[경제] 증거금, 미수금, 예수금 간단 개념정리 (0) | 2015.04.06 |
[Recipe] 여러가지 커피 레시피 24가지 (0) | 2015.04.05 |
[Etc] Mac 에서 네트워크 패킷 분석하는 방법 (Wireshark) (0) | 2015.04.04 |